MVC, 템플릿 엔진 이미지

helloController 안에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Spring이 뜰 때 생성하여 알아서 관리한다.
1.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
- 컴포넌트 스캔(ex. @Service, @~) 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-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
1)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
- @Component :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- @Controller : 컨트롤러가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 이유도 컴포넌트 스캔 때문이다.
- @Component 를 포함하는 다음 애노테이션도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- @Controller
- @Service
- @Repository
+ 아무곳이나 @Componet를 해도 되는가?
우리가 실행하려는 패키지를 포함하여 하위패키지까지만 가능, 컴포넌트 스캔의 범위에 들지않음
-> hello.hellospring 의 하위패키지까지 실행한다.

스프링 빈 등록 이미지

- @Autowired 는 위의 그림의 선과의 연관관계를 연결
- 참고 :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, 기본으로 싱글톤으로 등록한다 (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한다 -> helloController나 memberService ...모두 하나씩만) 따라서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다. 설정으로 싱글톤이 아니게 설정할 수 있지만, 특별한 경우 제외하면 대부분 싱글톤 사용한다.
'공부이야기 > [Spring.210428~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 입문] h2 설치 (0) | 2021.05.06 |
---|---|
[스프링 입문] 자바 코드로 스프링 빈 등록 (0) | 2021.05.06 |
[스프링 입문] 회원 서비스 개발 (0) | 2021.05.01 |
[스프링 입문] 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 (0) | 2021.04.30 |
[스프링 입문] 회원정보 관리 (0) | 2021.04.30 |
댓글